일간 수소에너지 동향 브리핑 (2025년 5월 8일)
I. 주요 동향 요약
2025년 5월 7일과 8일, 글로벌 수소에너지 부문은 정책 구체화와 실질적인 프로젝트 착수가 동시에 진행되는 중요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재생에너지 지침(RED)의 회원국 이행 마감일(2025년 5월 21일)이 임박함에 따라 재생수소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으며 1, 유럽수소은행(European Hydrogen Bank)의 2차 경매 결과 발표도 임박하여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2 미국에서는 청정수소 생산세액공제(45V) 최종 규정이 2025년 1월 발효됨에 따라 3, 관련 모델(GREET) 및 인증서(EAC) 기준이 명확해지면서 프로젝트 경제성 평가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한국에서는 국토교통부가 총 321억 원 규모의 수소전기열차 실증 R&D 사업 착수 보고회를 5월 8일 개최하며 수소 모빌리티 상용화에 박차를 가했고 5, SK E&S는 연간 3만 톤 생산 규모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 소식을 5월 8일 발표하며 대규모 생산 능력을 확보했습니다.7 또한, 도심 수소충전소 설치 규제 완화가 2025년 5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8, 청정수소 인증제 예비검토 컨설팅 사업 등 관련 제도 지원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9
시장 측면에서는 평화홀딩스와 평화산업 주가가 5월 8일 수소차/연료전지 테마 강세로 급등했으나 10, 구체적인 기업 발표보다는 테마성 움직임에 가까운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술 분야에서는 Toyota의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공개 11, 다양한 수소 및 연료전지 관련 특허 출원 및 등록 13 등 혁신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과 기술 개발,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그린수소의 높은 생산 비용 15 및 인프라 구축 지연 17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수소경제는 전략 수립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이행 및 시장 형성 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 정책 이행 결과와 프로젝트 성과가 시장 성장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II. 정책 및 규제 동향
글로벌 주요국들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를 구체화하고 이행을 가속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EU):
EU는 2023년 발효된 개정 재생에너지 지침(Renewable Energy Directive)에 따라 산업 및 운송 부문에서 재생수소 사용에 대한 구속력 있는 목표를 설정했으며, 회원국 및 이해관계자들은 2025년 5월 21일까지 이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1 이는 EU의 수소 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수소 및 탈탄소 가스 시장 패키지'(2024년 발효)와 함께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조치입니다.1 또한, EU는 2023년 6월 채택된 두 개의 위임법령을 통해 재생수소(RFNBO)의 정의와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방법론을 명확히 했으며, 저탄소 수소에 대한 배출량 계산 방법론 작업도 진행 중입니다.1
유럽수소은행(European Hydrogen Bank)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2차 경매(Innovation Fund Auction)에는 61건의 입찰이 접수되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2, 이는 2030년 EU의 국내 재생수소 생산 목표량의 7%에 해당하는 연간 730만 톤 이상의 생산 잠재력을 시사합니다.2 경매 결과는 2025년 5월 말 발표될 예정이며, 보조금 협약은 11월까지 체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 이는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자금 격차를 해소하며, 2030년까지 2천만 톤의 수소 사용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2
미국:
미국은 2025년 1월 10일부로 발효된 청정수소 생산세액공제(Clean Hydrogen Production Tax Credit, Section 45V) 최종 규정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 지원을 본격화했습니다.3 이 규정은 수소 1kg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4kg CO2e 이하일 경우 최대 $3/kg의 세액공제를 제공하며, 수소 생산 경로별 배출량 산정을 위한 45VH2-GREET 모델 사용 규칙, 임시 배출률(PER) 신청 요건, 에너지 속성 인증서(EACs) 활용 기준(증분성, 시간적 일치성, 전달성) 등을 상세히 명시하고 있습니다.3 특히, 최종 규정은 생산자가 시설 건설 시점의 최신 GREET 모델을 10년의 크레딧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일부 유연성을 부여했습니다.4 한편, 블루수소(천연가스 개질 및 탄소 포집 활용)가 향후 10년간 다양한 산업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45V 세액공제를 통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19 이는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간의 경제성 및 정책 지원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대한민국:
한국 정부는 수소 인프라 확충과 기술 개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2025년 5월부터 도심 내 수소충전소 설치 규제가 완화될 예정이며 8, 수전해 설비 제조 기준 재정비 및 시설 확충을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 중입니다.21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청정수소 인증제'의 조기 정착을 위해 기업들이 생산 설비 구축 전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사전 평가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예비검토 컨설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지원 대상 선정을 앞두고 있습니다.9 이와 함께 예비 수소전문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사업 공고도 게시되었습니다.22
프랑스:
프랑스는 최근 국가 수소 전략을 수정하여 2030년 전해조 목표를 기존 6.5 GW에서 4.5 GW로 하향 조정했지만, 2035년 목표로 8 GW를 설정했습니다.23 이는 가치 사슬 통제, 국가 혁신 촉진, 에너지 주권 확보를 위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생산을 우선시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해석됩니다.23 프랑스 정부는 이 목표 달성을 위해 향후 15년간 1 GW 규모의 전해조 설비에 40억 유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23
이러한 각국의 정책 동향은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규제 및 지원책 마련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미국과 EU의 상세한 규정들은 청정수소의 정의와 검증 기준을 명확히 하여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프랑스의 사례처럼 에너지 안보와 국내 산업 육성을 위해 수입보다는 국내 생산을 강조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어, 향후 각국의 정책 방향이 비용 효율성과 에너지 주권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이루어 나갈지 주목됩니다. 또한, 청정수소 인증, 배출량 산정 방법론, EACs 요건 등 세부적인 이행 규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것은 단순한 생산 용량 확대 목표를 넘어 수소의 '청정성'을 확보하고 검증하는 단계로 정책적 관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III. 시장 및 투자 동향
수소 시장은 높은 성장 기대감과 함께 활발한 투자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의 불확실성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글로벌 수소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4, 특히 그린수소 시장은 2025년 21.7억 달러 17 또는 38.3억 달러 25 규모로 예측되는 등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30년까지 청정수소 공급량이 30배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24 이러한 성장은 각국의 탈탄소 목표, 운송 및 산업 부문의 수요 증가, 정부 지원 정책, 기술 발전 등에 힘입은 결과입니다.17
투자 및 자금 조달:
수소경제 전환을 위해서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약 3,000억~7,000억 달러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됩니다.24 이에 부응하여 각국 정부는 대규모 자금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지역 청정수소 허브 구축에 70억 달러를 배정했으며 24, EU는 유럽수소은행 경매를 통해 자금 지원을 추진 중입니다.2 프랑스 정부는 전해조 설비 지원에 40억 유로를 투입할 계획이며 23,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EC) 등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26
기업들의 투자도 활발합니다. 에너지 인프라 기업 Enerflex는 2025년 총 1.1억~1.3억 달러 규모의 설비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수소 특정 내용은 미언급) 28, SK그룹은 2025년까지 수소 사업에 18.5조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29 산업가스 기업 Linde는 2025년 설비 투자 예산을 50억~55억 달러로 책정했습니다.30 한편, 우루과이 국영 에너지 기업 Ancap은 연말까지 천연수소 탐사 및 개발 입찰을 계획하는 등 새로운 투자 기회도 모색되고 있습니다.32
기업 동향 및 주가:
5월 8일, 국내 증시에서는 평화홀딩스(+27.13%)와 평화산업(+22.69%) 주가가 '수소차-연료전지' 테마 강세에 힘입어 급등했습니다.10 다만, 해당 기업들의 직접적인 공시나 뉴스 발표는 확인되지 않아, 시장 테마에 따른 변동성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특정 정치인과의 연관성을 이유로 보기도 합니다.34
주요 수소 관련 기업으로는 Linde, Bloom Energy, Plug Power, BP, Air Products 35, Air Liquide, 현대자동차, 두산퓨얼셀, Toyota 36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Linde는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5월 1일)에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보합($81.1억)이었으나 조정 EPS는 5% 증가($3.95)하며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습니다.30
수소 가격 지표:
수소 관련 기업들의 주가 동향을 반영하는 지표로 S&P Kensho Global Hydrogen Economy Index는 2025년 4월 30일 기준 105.56 USD를 기록했으며 37, Solactive Global Hydrogen Index (Net Return EUR)는 2025년 5월 1일 기준 1521.97을 기록했습니다.38
지역별 수소 가격 동향을 보면, 2025년 1분기 북미 지역은 주요 생산 방식인 SMR(스팀 메탄 개질)의 원료인 천연가스 가격 약세로 하방 압력을 받았습니다.39 반면, 인도에서는 국내 가스 가격 상승과 계절적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39 이러한 지역별 가격 차이는 현재 수소 시장이 아직 통합된 글로벌 상품 시장이라기보다는 지역별 원료비 및 수급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 국지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반적으로 수소 시장은 높은 성장 전망과 대규모 투자 계획 발표가 이어지고 있지만, 실제 운영 중인 청정수소 생산 규모는 목표치에 비해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16 이는 현재 시장이 실제 상업적 성과보다는 미래 기대감과 정책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평화홀딩스/평화산업 주가 급등과 같은 변동성은 이러한 투기적 요소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표: 주요 수소 관련주 주가 동향 (2025년 5월 8일)
회사명 | 티커 (거래소) | 종가 (5월 8일) | 전일 대비 등락률 | 비고 (관련 테마) |
평화홀딩스 | 010770 (KOSPI) | (데이터 없음) | +27.13% | 수소차 - 연료전지 10 |
평화산업 | 090080 (KOSPI) | (데이터 없음) | +22.69% | 수소차 - 연료전지 10 |
Linde | LIN (NASDAQ) | $XXX.XX | X.XX% | 수소 생산/공급 35 |
Bloom Energy | BE (NYSE) | $XXX.XX | X.XX% | 연료전지 35 |
Plug Power | PLUG (NASDAQ) | $XXX.XX | X.XX% | 연료전지/수전해 35 |
BP | BP (NYSE) | $XXX.XX | X.XX% | 블루/그린수소 프로젝트 35 |
Air Products | APD (NYSE) | $XXX.XX | X.XX% | 수소 생산/공급 35 |
Air Liquide | AI (EPA) | €XXX.XX | X.XX% | 수소 생산/공급 36 |
현대자동차 | 005380 (KOSPI) | ₩XXX,XXX | X.XX% | 수소차/연료전지 36 |
두산퓨얼셀 | 336260 (KOSPI) | ₩XX,XXX | X.XX% | 연료전지 36 |
Toyota | 7203 (TYO) | ¥X,XXX | X.XX% | 수소차/연료전지 36 |
주: 상기 표의 종가 및 등락률 데이터는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예시로 표시되었습니다. 실제 데이터 확인이 필요합니다.
IV. 기술 및 혁신 동향
수소 기술 개발은 생산, 저장·운송, 활용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
생산 기술:
현재 시장은 그린수소(재생에너지 기반 수전해)와 블루수소(화석연료 개질 + 탄소 포집)가 공존하는 양상입니다.15 정책적으로는 그린수소 육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블루수소가 비용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15
수전해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EU는 '전해조 파트너십'을 통해 2025년까지 연간 17.5 GW의 전해조 생산 능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1, BP는 독일 Lingen 프로젝트에 Cummins의 100MW급 PEM 전해조를 도입할 예정입니다.35 또한, 고가의 전해조를 사용하지 않고 물과 열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열화학적 물 분해 기술(예: NewHydrogen의 ThermoLoop™)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41 이 외에도 지층 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천연수소(Natural Hydrogen)에 대한 탐사 및 개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 우루과이 Ancap).32 이처럼 다양한 생산 기술 경로가 탐색되는 것은 아직 지배적인 단일 솔루션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그린수소의 경제성 확보와 인프라 구축이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저장 및 운송 기술:
효율적인 저장 및 운송 기술은 수소경제 확산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17 수소를 액체 상태로 변환하여 저장 밀도를 높이는 액화수소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43, 2025년 5월 7-8일 콜로라도 광업학교에서 열린 수소 심포지엄에서도 저장 및 운송 기술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44 최근 특허 동향에서는 교체 가능한 연료 용기를 위한 선박 레일 조립체(Propelwind SAS) 등 새로운 운송 솔루션 개발 노력도 엿보입니다.13
연료전지 및 모빌리티 활용 기술:
연료전지 기술은 특히 대형 상용차 부문에서 성능 개선과 내구성 향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Toyota는 최근 북미에서 차세대 Gen 3 연료전지 시스템을 공개했는데, 기존 대비 효율과 출력을 각각 20% 향상시키고 대형 트럭 기준 60만 마일 이상의 내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11 현대자동차 역시 장거리 운송에 적합한 엑시언트(Xcient) 수소전기트럭(Class 8)을 북미 시장에 선보이며 약 400마일 주행거리와 8~20분의 빠른 충전 시간을 강점으로 내세웠습니다.45 수소연료전지차(FCEV) 시장은 2034년까지 15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연평균 27.2% 성장), 특히 PEM(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가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46 평화홀딩스 및 평화산업의 주가 급등 역시 연료전지 기술에 대한 시장의 높은 기대감을 반영합니다.10 이러한 동향은 수소 기술이 승용차를 넘어 장거리 운송 및 물류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허 동향:
2025년 5월 6일부터 8일 사이에 공개되거나 등록된 특허들은 수소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보여줍니다. 연료전지 시스템 및 부품(Guangdong Yuntao, 현대모비스, 국방과학연구소, Bosch, Shanghai Yuji, FCI, Johnson Matthey 등), 수전해 기술(Equinor Energy, Xian Longi Hydrogen Energy 등), 수소화 반응기(Saudi Arabian Oil, Penglai Luhao Chemical Machinery 등), 저장 및 운송(Propelwind SAS 등), 관련 소재 및 전극(Shinetsu Chemical, KAIST, AMX Lab, Nanjing Iron & Steel, University of Rochester 등), 계측 및 시험 장비(Jiangxi Jingexin Anyun Tech 등), 생산 공정(Inner Mongolia University of Technology 등)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13
표: 주요 수소/연료전지 관련 특허 (2025년 5월 7-8일 공개/등록)
특허/출원/공개 번호 | 권리자/출원인 | 기술 분야/내용 요약 |
KR20240051734 (A) | 현대모비스 | 연료전지 시스템 14 |
KR20240051732 (A) | 현대모비스 |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시스템 14 |
KR20240048800 (A) | 국방과학연구소 | 연료전지 시스템 14 |
CN222305288 U | Guangdong Yuntao Hydrogen Energy Technology | 연료전지 시스템 박스 바디 퍼지 장치 13 |
CN222306317 U | Shanghai Yuji Power System Co Ltd | 공랭식 연료전지 스택 단일 피스용 접착 도구 14 |
KR20240051733 (A) | 현대모비스 | 연료전지용 분리판 14 |
WO2025084937 (A1) | Equinor Energy | 물 전기분해 13 |
CN222308218 (U) | Xian Longi Hydrogen Energy Technology | 유체 처리용 멤브레인 구조 및 조립체 13 |
WO2025083163 (A1) | Propelwind S A S | 교환 가능한 연료 용기를 위한 레일 조립체가 있는 선박 13 |
US2025140881 (A1) | Robert Bosch | 연료전지 시스템 및 연료전지 시스템용 탱크 시스템 13 |
US12288885 (B2) | Johnson Matthey Hydrogen Tech Limited | 전기촉매 잉크 13 |
CN221772284 (U) | Penglai Luhao Chemical Machinery Co Ltd | 수소화 반응 케틀 13 |
CN222300555 (U) | Tianjin Jiabo Hydrogen Energy Tech Co Ltd | 보호 구조가 있는 압력 스위치 13 |
KR20240048602 (A) | 오영한, 신말순 | 수소-산소 혼합 가스 발생기 13 |
CN221738853 (U) | Hubei Xinyan Hydrogen Energy Tech Co Ltd | 고안정성 전해질 저장 탱크 13 |
주: 상기 표는 5월 7-8일 발표/등록된 특허 중 일부를 선별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V. 프로젝트 및 인프라 개발 동향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젝트 추진과 인프라 구축 노력이 국내외에서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젝트 현황: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2025년 5월 8일, 총사업비 321억 원이 투입되는 '수소전기열차 실증 R&D 사업'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습니다.5 이 사업은 2027년까지 1.2MW급 수소전기동차(EMU) 시제품(최고속도 150km/h, 1회 충전 600km 이상 주행)을 제작하고, 기존 비전철화 구간에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를 구축하여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합니다.5 이는 노후 디젤 열차를 대체하고 K-수소열차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됩니다.5
SK E&S는 5월 8일, 연간 3만 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을 발표했습니다.7 이는 국내 액화수소 공급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2025년까지 연간 약 9,300톤으로 생산량을 늘릴 전망입니다.47
국제적으로는 노르웨이에서 5월 7-8일 양일간 '2025 HyValue Days' 컨퍼런스가 개최되어 수소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최신 개발 동향을 논의했습니다.48 이 행사에서는 북아드리아해 수소 밸리(NAHV) 프로젝트, 해운 분야 암모니아 활용을 위한 Apollo 프로젝트 등 다양한 수소 관련 프로젝트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48 또한, 동남부 유럽의 에너지 전환을 논의하는 'Renewable South 2025' 컨퍼런스(5월 7-8일, 모스타르)에서도 수소의 역할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49 우루과이 국영 에너지 기업 Ancap은 연말까지 천연수소 탐사 및 개발을 위한 입찰 라운드를 개시할 계획을 발표하며 새로운 자원 개발 가능성을 열었습니다.32
인프라 구축 동향:
수소 모빌리티 확산의 핵심인 충전 인프라 구축은 지속적인 과제입니다. 한국의 경우, 2024년 11월 기준 수소충전소는 208기가 구축되어 2022년 목표(310기)에는 미달했으나, 2025년 450기 이상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18 특히 서울 시내에는 9개소에 불과하여 도심 지역 인프라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51,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25년 5월부터 도심 내 충전소 설치 규제가 완화될 예정입니다.8
미국에서는 Toyota가 캘리포니아 북미 부품 센터(NAPCC) 캠퍼스 내에 자체 수소 충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Air Liquide, Iwatani와의 협력을 통해 액화수소 공급 및 상용차를 위한 고유량 충전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1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EC) 역시 항만 및 중대형 차량(MDHD)을 위한 충전 및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에 자금을 지원하는 공모를 진행 중입니다.26
한편, 지역적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소 인프라 활용 방안도 모색되고 있습니다. 5월 7일 전남 영암에서 열린 포럼에서는 지역 전력계통 포화 문제 해결책으로 해상풍력 및 태양광 자원을 활용한 '수소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53 이는 수소가 단순한 연료원을 넘어 에너지 저장 및 운송 매체로서 재생에너지 통합과 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국제 협력 및 이니셔티브: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아랍석유수출국기구(OAPEC)는 회원국들의 수소 개발 지원을 위한 '수소 가이던스 이니셔티브'를 출범했으며 40, 미국 에너지부(DOE)는 '수소 부처 간 태스크포스' 및 '국가 청정수소 전략 및 로드맵'을 통해 범정부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54 유럽에서는 CEN-CENELEC-ETSI 스마트그리드 조정 그룹(SG-CG)이 EU 정책 이행을 위한 표준화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수소 프로젝트 및 인프라 구축은 파일럿 단계를 넘어 상용화 및 대규모 실증 단계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열차, 대형 트럭 등 모빌리티 분야와 액화수소 생산 등 구체적인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충전소 보급 목표 달성 지연 사례에서 보듯, 계획 대비 실제 구축 속도는 여전히 도전 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망 포화 문제 해결 등 지역 에너지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수소 인프라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VI. 분석가 전망
2025년 5월 8일 현재, 수소에너지 부문은 정책적 기반이 강화되고 실제 프로젝트가 구체화되면서 본격적인 성장 단계로 진입하려는 강력한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45V 세액공제 최종 규정 확정, EU의 재생에너지 지침 이행 임박 등 주요국의 정책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투자 환경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수소전기열차 실증 사업 착수, SK E&S의 대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가동, Toyota의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공개 및 인프라 투자 계획 등은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사례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명확합니다. 첫째, 청정수소, 특히 그린수소의 생산 비용은 여전히 기존 화석연료 기반 수소나 블루수소에 비해 높아 경제성 확보가 시급합니다. 둘째, 충전소 등 핵심 인프라 구축 속도가 시장의 기대나 정부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수소 모빌리티 및 산업 활용 확대에 제약이 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정수소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이를 검증하는 표준화된 시스템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미국 EAC 요건 강화, EU의 RFNBO 정의 등은 이러한 검증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수소 시장은 단순한 기술 개발 및 정책 선언 단계를 지나 상업적 실행 가능성을 입증하고 운영 규모를 확대하는 단계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 성숙도와 경제성 측면에서 중대형 상용차를 포함한 운송 부문과 산업 공정의 탈탄소화가 단기적인 핵심 시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유럽수소은행의 경매 결과 발표, 각국의 정책 이행 상황 등 예정된 주요 일정들이 시장의 신뢰도와 투자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소경제의 성공적인 안착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 과감한 인프라 투자, 그리고 정책적 지원의 삼박자가 조화를 이루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 Hydrogen - Energy - European Commissio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ergy.ec.europa.eu/topics/eus-energy-system/hydrogen_en
- Over-subscribed European Hydrogen Bank auction receives 61 bids for Innovation Fund support, including 8 maritime projects - EU Climate Actio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limate.ec.europa.eu/news-your-voice/news/over-subscribed-european-hydrogen-bank-auction-receives-61-bids-innovation-fund-support-including-8-2025-03-07_en
- Credit for Production of Clean Hydrogen and Energy Credit - Federal Register,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25/01/10/2024-31513/credit-for-production-of-clean-hydrogen-and-energy-credit
- Final regulations for the Inflation Reduction Act's Section 45V Clean Hydrogen Production Tax Credi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heicct.org/wp-content/uploads/2025/04/ID-337-%E2%80%93-Hydrogen-credit_policy-update_final.pdf
- 국토부, 수소전기동차 실증사업 본격 착수…321억 투입 | - HeraldK.com,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eraldk.com/2025/05/07/%EA%B5%AD%ED%86%A0%EB%B6%80-%EC%88%98%EC%86%8C%EC%A0%84%EA%B8%B0%EB%8F%99%EC%B0%A8-%EC%8B%A4%EC%A6%9D%EC%82%AC%EC%97%85-%EB%B3%B8%EA%B2%A9-%EC%B0%A9%EC%88%98%E2%80%A6321%EC%96%B5-%ED%88%AC%EC%9E%85/
- 국토부, 친환경 수소열차 실증 본격 착수…2028년 상용화 목표 - 팍스뉴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paxnews.co.kr/news/view.php?idx=52790
- 정책으로 알아보는 한국 수소 연대기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4489
- 내년 5월부터 도심 수소충전소 설치 규제 완화 - YTN 사이언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key=202412181659103179&s_hcd=
- [안내] 2025년 청정수소인증제 예비검토 컨설팅 사업 공고 - 에너지경제연구원,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eei.re.kr/board.es?mid=a10211020100&bid=0024&tag=&act=view&list_no=124652
- [강세 토픽] 수소차 - 연료전지 테마, 평화홀딩스 +27.13%, 평화산업 +22.69%,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5/08/JRTQRIFWNPMQG4YP7ARDLBOSVU/
- Toyota Expands Commitment to Hydrogen Society with Fleet, Infrastructure and Next-Gen System Debut - PR 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toyota-expands-commitment-to-hydrogen-society-with-fleet-infrastructure-and-next-gen-system-debut-302439807.html
- Toyota Expands Commitment to Hydrogen Society with Fleet, Infrastructure and Next-Gen System Debu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pressroom.toyota.com/toyota-expands-commitment-to-hydrogen-society-with-fleet-infrastructure-and-next-gen-system-debut/
- Global IP New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alipnews.com/?q=Hydrogen
- Global IP New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alipnews.com/?q=Fuel+Cell
- 블루수소 관련주,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히며 주목할 필요!! : 네이버 블로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goldmap7/223803716789?viewType=pc
- FOCUS ON HYDROGEN: STATE OF THE MARKET 2025 MARCH 2025 | Clifford Chanc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liffordchance.com/content/dam/cliffordchance/briefings/2025/03/focus-on-hydrogen-state-of-the-market-2025.pdf
- Green Hydrogen Market Report 2025-2035: Nations Set Ambitious Production Goals with Financial Incentives - Globe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4/07/3056708/0/en/Green-Hydrogen-Market-Report-2025-2035-Nations-Set-Ambitious-Production-Goals-with-Financial-Incentives.html
- 수소충전소 200기 돌파 ① 2025년 450기 달성 '새출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2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6
- US must support emerging blue hydrogen sector in next decade through 45V tax credit -report - Carbon Puls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arbon-pulse.com/395295/
- CP Daily: Wednesday May 7, 2025 - Carbon Puls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arbon-pulse.com/394905/
- [분석]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尹 정부 핵심규제 내용은? - 에너지신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880
- 사업공고 - 2025년 예비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 제1차 수혜기업 모집공고,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technopark.kr/businessboard/213524
- France adjusts its green hydrogen strategy: lowers targets but strengthens the value chai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trategicenergy.eu/france-hydrogen/
- Why Investing in Hydrogen Could Be Your Smartest Move in 2025 - Energies Medi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ergiesmedia.com/why-investing-in-hydrogen-could-be-your-smartest-move-in-2025/
- Green Hydrogen Market Report 2025 - Research and Market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andmarkets.com/reports/5939268/green-hydrogen-market-report
- Grant Funding Opportunities - Hydrogen Fuel Cell Partnership,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2fcp.org/grant-funding-opportunities
- GFO-24-610 Pre-Application Workshop - Medium- and Heavy-Duty Zero-Emission Vehicle Port Infrastructu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ca.gov/sites/default/files/2025-04/GFO-24-610_Pre-Application_Workshop_Presentation_ada.pdf
- Enerflex Ltd. Announces First Quarter 2025 Financial and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nvestors.enerfle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enerflex-ltd-announces-first-quarter-2025-financial-and
- SK, 2025년까지 수소 사업에 18조5천억 원 투자,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2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8830
- Linde Reports First-Quarter 2025 Results - Business 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501818952/en/Linde-Reports-First-Quarter-2025-Results
- Linde Reports First-Quarter 2025 Result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assets.linde.com/-/media/global/corporate/corporate/documents/press-releases/2025/linde-1q25-earnings-release-tables.pdf
- Uruguay's Ancap To Launch Bidding For Natural Hydroge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inelink.com/news/uruguays-ancap-launch-bidding-natural-525470
- 평화홀딩스(010770) 상한가 진입 - 매경증권 - 매일경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tock.mk.co.kr/news/view/741421
- 평화홀딩스·평화산업 장중 20%대 급등, 김문수 관련주 주목 - 비즈니스포스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4001
- 5 Hydrogen Stocks to Watch in 2025 | The Motley Fool,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fool.com/investing/stock-market/market-sectors/energy/hydrogen-stocks/
- Ordinary Adjustment | Solactive Hydrogen Economy Index | Effective Date 19th May 2025,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olactive.com/ordinary-adjustment-solactive-hydrogen-economy-index-effective-date-19th-may-2025/
- S&P Kensho Global Hydrogen Economy Index | S&P Dow Jones Indice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pglobal.com/spdji/en/indices/equity/sp-kensho-global-hydrogen-economy-index/
- FACTSHEET - AS OF 01-May-2025 Global Hydrogen Index (Net Return) (EUR) - Solactiv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olactive.com/wp-content/uploads/solactiveip/en/Factsheet_DE000A2GG8L9.pdf
- Hydrogen Prices, News, Monitor, Market Analysis & Demand - ChemAnalys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hemanalyst.com/Pricing-data/hydrogen-1165
- OAPEC launches hydrogen guidance initiative to boost Arab energy transitio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oenergytimes.com/oapec-launches-hydrogen-guidance-initiative-to-boost-arab-energy-transition/
- NewHydrogen Files Patent for Its Breakthrough Technology - Globe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3/11/3040290/0/en/newhydrogen-files-patent-for-its-breakthrough-technology.html
- Green Hydrogen - NewHydrogen Files Patent for Its Breakthrough Technology,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ydrogen-central.com/green-hydrogen-newhydrogen-files-patent-for-its-breakthrough-technology/
- 2025 수소산업 유망 아이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files-scs.pstatic.net/2025/01/17/Xu1ZiRyi8S/2025%20%EC%88%98%EC%86%8C%EC%82%B0%EC%97%85%20%EC%9C%A0%EB%A7%9D%EC%95%84%EC%9D%B4%ED%85%9C_final.pdf
- 2025 Hydrogen Symposium - Global Energy Future Initiative - Colorado School of Mine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mines.edu/global-energy-future/2025-hydrogen-symposium/
- Hyundai To Launch Hydrogen Fuel Cell Truck And Refueling Hub In Georgia By 2025,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ydrogenfuelnews.com/hyundai-to-launch-hydrogen-fuel-cell-truck-and-refueling-hub-in-georgia-by-2025/8570677/
- Hydrogen Fuel Cell Vehicle Industry Research 2025: $15.9 Bn - Globe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4/11/3060015/28124/en/Hydrogen-Fuel-Cell-Vehicle-Industry-Research-2025-15-9-Bn-Market-Opportunities-Growth-Drivers-Industry-Trend-Analysis-and-Forecasts-2021-2034.html
- 2025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기획보고서 액화수소 인수기지(LH2) 핵심설비 및,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grant-documents.thevc.kr/246940_3.+%5B%EA%B3%B5%EA%B0%9C%EC%9A%A9%5D+2025%EB%85%84%EB%8F%84+%EC%97%90%EB%84%88%EC%A7%80%EA%B8%B0%EC%88%A0%EA%B0%9C%EB%B0%9C%EC%82%AC%EC%97%85+%EC%8B%A0%EA%B7%9C%EA%B3%BC%EC%A0%9C+%EA%B8%B0%ED%9A%8D%EB%B3%B4%EA%B3%A0%EC%84%9C_%EC%95%A1%ED%99%94%EC%88%98%EC%86%8C(LH2)+%EC%9D%B8%EC%88%98%EA%B8%B0%EC%A7%80+%ED%95%B5%EC%8B%AC%EC%84%A4%EB%B9%84+%EB%B0%8F+%EC%8B%9C%EC%84%A4+%EC%95%88%EC%A0%84%EA%B8%B0%EC%88%A0%EA%B0%9C%EB%B0%9C(%EC%97%90%EB%84%88%EC%A7%80%EC%95%88%EC%A0%84).pdf
- The 2025 HyValue Day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yvalue.no/events/2025-hyvalue-days
- Renewable South 2025 Highlights Grid, Hydrogen and Efficiency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ergynews.biz/renewable-south-2025-highlights-grid-hydrogen-and-efficiency/
- Renewable South 2025: Mostar Becomes the Energy Hub of the Regio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ergynews.biz/renewable-south-2025-mostar-becomes-the-energy-hub-of-the-region/?utm_source=rss&utm_medium=rss&utm_campaign=renewable-south-2025-mostar-becomes-the-energy-hub-of-the-region
- 서울 수소 충전소 단 9개, 도심 충전 인프라 확대 필요...수소전기차 보급 5만대 돌파 - CBC뉴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8583
- Developing a Medium and Heavy-Duty ZEV Infrastructure Blueprint for the South Coast Blueprint Repor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ca.gov/sites/default/files/2025-04/Final_Blueprint_ARV-21-027_UC_Riverside_ADA.pdf
- “분산에너지 활성화·수소고속도로 구축이 지역전력계통 포화 해결 방안”,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507123104635
- DOE Hydrogen Program Appropriations: FY2025 - Congress.gov,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ongress.gov/crs-product/IF12699
- U.S. National Hydrogen Strategy and Roadmap,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ydrogen.energy.gov/library/roadmaps-vision/clean-hydrogen-strategy-road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