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에너지/전기에너지그리드

스마트그리드 일간 동향 브리핑 (2025년 5월 8일)

by senpro 2025. 5. 9.
728x90
반응형

Executive Summary

2025년 5월 8일 현재, 국내 스마트그리드 분야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 확대 시행 임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 가시화 등 주요 정책 변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6월부터 민간 공동주택에도 ZEB 5등급 기준이 적용됨에 따라,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지능형 원격검침 인프라(AMI), 고효율 설비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지역 기반의 새로운 에너지 거래 모델 실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전력시장 개편 논의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인공지능(AI) 기반 BEMS/HEMS 고도화, 스마트홈 기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Matter 표준 확산, V2G(Vehicle-to-Grid) 기술의 상용화 준비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KEPCO의 AMI 보급 사업은 연내 완료를 목표로 순항 중이며, 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아파트 등 집합건물 환경에서의 데이터 통합 및 활용은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EU의 건물 에너지 성능 강화, 미국의 대규모 부하 관리 및 청정 수소 정책 등이 국내 시장 및 기술 개발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표준화 측면에서는 BEMS 관련 KS 표준(KS F 1800 시리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Matter 표준의 국내 도입 지원, AMI 통신 및 데이터 보안 표준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시장은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 전기차, 스마트홈 분야의 동반 성장이 예상되며, 관련 기업들의 기술 개발 및 투자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스마트그리드 발전은 기술 간 융합 가속화, 표준화를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강화, 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I. 정책 및 규제 동향

A. 국내 정책 개발 현황

  1. 민간 공동주택 ZEB 의무화 시행 임박: 2025년 6월부터 30세대 이상 신축 민간 공동주택 및 1,000㎡ 이상 민간 건물에 대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5등급 기준이 의무적으로 적용될 예정입니다.1 이는 2020년 공공건축물 1,000㎡ 이상, 2023년 공공건축물 500㎡ 이상 및 30세대 이상 공공 공동주택으로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온 ZEB 의무화 로드맵의 중요한 진전입니다.2
  • 정책 배경 및 중요성: 이 정책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건물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3 ZEB 의무화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입주민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됩니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가구당 연간 약 22만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이는 약 130만원으로 예상되는 추가 건축비용을 약 6년 내외에 회수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1
  • ZEB 5등급 요구사항: ZEB 5등급 인증을 위해서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 이상(주거용 기준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소요량 90 kWh/㎡·yr 미만)을 충족하고, 건물 자체에서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을 달성해야 합니다.5 특히, ZEB 인증 요건에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또는 원격검침전자식 계량기(AMI 기능 포함) 설치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에너지 사용량의 체계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 기반 구축을 요구합니다.2
  • 산업 영향 및 유연성 확보: 건설업계는 고성능 단열재, 고효율 창호, 열교환 환기장치 등 신기술 및 자재 도입과 공사비 증가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3 정부는 이러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해당 부지가 아닌 다른 부지에 설치된 태양광 설비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등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요건을 충족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1
  • 기술 도입 촉진 효과: ZEB 의무화는 BEMS, AMI, 고효율 냉난방 설비,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의 공동주택 시장 보급을 강력하게 견인하는 규제 동력으로 작용합니다. 건물 에너지 효율과 자립률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단열 강화 등 패시브 요소뿐만 아니라 7, BEMS를 통한 능동적 에너지 관리와 신재생에너지 활용이 필수적이며 5, 인증 기준 자체가 BEMS 또는 원격검침 시스템 설치를 명시하고 있어 2 관련 기술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 구현상의 과제와 정책적 균형: 약 6년으로 추정되는 투자비 회수 기간 1은 에너지 가격 변동이나 실제 시스템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초기 공사비 증가는 3 건설 일정 지연이나 분양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REC 구매 등 대체 인정 방안은 1 건설업계의 부담을 줄여주지만, ZEB의 핵심 취지인 건물 단위의 에너지 생산 및 관리 활성화를 저해할 위험도 내포합니다. 이는 규제 준수 촉진과 정책 목표 극대화 사이의 신중한 균형이 요구되는 지점입니다.
  1.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 진행: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따라, 지역별 특화지역 지정 신청이 진행 중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는 파주시와 의왕시를 후보지로 신청했으며 8,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중 최종 대상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8
  • 제도 배경 및 중요성: 특화지역 내에서는 분산에너지 사업자(재생에너지, 연료전지 등)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 전기 사용자와 직접 전력 거래(PPA)를 할 수 있는 특례가 적용됩니다.9 이는 재생에너지 접속 지연 등 기존 전력계통의 포화 문제를 완화하고 10, 지역 기반의 새로운 에너지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8
  • 시장 개혁의 시험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운영 성과(가격 결정 방식, 계통 안정성 기여도, 비즈니스 모델 등)는 향후 전력시장 개편 12 및 분산자원(DER)의 전국적 확대 통합을 위한 중요한 실증 데이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는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에서 분산형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험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특화지역 내에서 허용되는 직접 PPA 및 지역 내 거래는 9 기존 전력시장 규칙과 계통 운영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도이며 10, 이 실험의 성공 여부가 향후 전국 단위의 분산자원 통합 및 시장 설계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12
  1. 전력시장 개편 논의: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예비력 시장 참여 허용(2025년 목표) 및 소규모 재생에너지 자원을 묶어(예: 20MW 단위) 전력시장에서 거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12
  • 배경 및 중요성: 현재의 전력시장 구조는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참여와 그 가치 인정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개편 논의는 재생에너지의 시장 통합을 촉진하고 계통 안정화 기여 능력을 보상하기 위한 것입니다.
  • 점진적 개편과 구조적 실험의 병행: 재생에너지의 예비력 시장 참여 허용은 12 기존 시장 체계 내에서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접근입니다. 반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운영은 8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보다 근본적인 시장 구조 변경을 실험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장기적인 전력시장 구조를 형성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즉, 기존 시스템을 수정하는 동시에 12 대안적인 지역 기반 모델을 시험하는 9 이중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화지역의 성과와 확장 가능성이 향후 전체 시장 개편 방향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1. AMI 보급 및 활용 전환: 한국전력(KEPCO)의 저압 고객 대상 AMI(지능형 원격검침 인프라) 보급 사업은 2025년 말 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총 2,250만호 대상) 13, 2025년 초 현재 약 1,750만호(87.3%)가 구축되었습니다.14 다만, 정부 지원으로 추진되는 아파트 단지 AMI 보급 사업은 상대적으로 더딘 상황입니다.14
  • 배경 및 중요성: AMI는 시간대별 요금제, 수요반응(DR), 원격 검침, 에너지 사용량 실시간 제공, 에너지 컨설팅 등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구현의 핵심 기반 인프라입니다.15 보급 완료는 이러한 부가 서비스 활성화의 전제 조건입니다.
  • 표준화 및 보안: 국내 AMI 통신 방식으로는 PLC, Wi-SUN, LTE 등 다양한 기술이 혼용되고 있으며 16, 데이터 전송 보안을 위해 KCMVP 인증 암호모듈 적용이 추진되고 있습니다.18 계량기 자체도 E-Type, G-Type 등으로 진화해왔습니다.20
  • 활용 단계로의 전환과 과제: AMI 인프라 구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이제는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여 실질적인 고객 편익과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13 그러나 정부 주도 아파트 보급 사업의 상대적 부진은 14 다세대 주택 환경에서의 AMI 구축 및 데이터 활용에 기술적, 제도적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하며, KEPCO와 민간/공공 주택 사업자 간의 데이터 연계 및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KEPCO의 방대한 AMI 데이터와 14 아파트 단지 내 자체 AMI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합해야만 14 정확한 수요 예측, 효율적인 DR 운영, 통합 과금 등 고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표준화된 데이터 공유 플랫폼(예: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ENET 21) 구축 및 활용이 중요해질 것입니다.

B. 국제 정책 및 규제 환경

  1. EU 건물에너지성능지침(EPBD) 강화: 최근 개정된 EPBD는 2035년까지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대폭 감축을 의무화하고, 건물 리노베이션 촉진, 화석연료 난방 퇴출, 태양광 설치 확대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4 특히, 에너지 성능이 낮은 건물부터 단계적으로 최소 에너지 성능 기준(MEPS)을 도입합니다.4
  • 시사점: EU의 강력한 건물 에너지 규제는 한국의 ZEB 정책 방향과 일치하며, 건물 부문 탈탄소화라는 글로벌 트렌드를 재확인시켜 줍니다. 이는 고효율 건축 자재, BEMS,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 관련 국내 기술 및 표준의 해외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EU와 한국의 유사한 정책 목표는 1 향후 관련 기술 및 표준의 국제적 조화 가능성을 높이고 관련 산업의 교역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1. 미국 전력망 규제 및 투자 동향: 텍사스주는 대규모 전력 소비처(데이터센터 등)의 계통 연계 관리를 위한 법안(SB6)을 추진 중입니다. 이 법안은 전력 사용량 사전 신고, 예비 발전설비 확보 의무, 송전망 건설 비용 분담, 비상시 전력 차단 등의 내용을 포함합니다.23 또한, 미국 연방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통해 청정 수소 생산(45V 세액공제) 24 및 전기차 충전,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 26에 대한 대규모 재정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시사점: 텍사스의 사례는 데이터센터, 전기차 충전 등 새로운 대규모 부하 증가로 인한 전력망 부담 심화와 이에 대한 규제적 대응 필요성을 보여줍니다.23 미국의 청정 수소 및 전기차 지원 정책은 향후 전력망 운영에서 수소(전력 변환 및 저장)와 V2G의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닙니다. 이러한 대규모 부하 및 분산자원의 증가는 전력망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즉, 증가하는 부하를 관리하고 23 새로운 자원(수소, EV)을 통합하기 위한 24 지능형 전력망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표 1: 주요 정책/규제 업데이트 (2025년 5월 8일 기준)

 

지역 정책/규제 주요 업데이트/현황 관련 Snippet ID
한국 ZEB 의무화 (민간) 2025년 6월 시행 예정 (30세대 이상 공동주택, 1000㎡ 이상 건물). REC 대체 인정 검토 중. 1
한국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특화지역 선정 진행 중 (경기 등 지역 제안서 제출). 5월 중 산업부 최종 발표 예정. 8
한국 전력시장 개편 재생에너지 예비력 시장 참여(2025년 목표), 소규모 자원 그룹핑 거래 등 논의 중. 12
한국 AMI 보급 KEPCO 보급 2025년 말 완료 목표. 아파트 단지 보급은 상대적 지연. 서비스 활용 단계 전환 중. 13
EU 건물에너지성능지침 (EPBD) 개정 지침 발효. 2035년까지 주거용 건물 에너지 사용량 감축 의무화, 리노베이션 및 재생E 확대. 4
미국 (텍사스) SB6 (계통연계 규제안) 상원 통과, 하원 심의 중. 대규모 부하 계통 연계 관리 강화 목적. 23

II. 기술 및 혁신 동향

A.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및 관리 기술

  1. AMI 활용 서비스 개발 본격화: KEPCO의 AMI 보급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13,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KEPCO는 AMI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격 전압 관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정전 예측 등 전력망 운영 효율화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14, 민간 기업(피에스텍, 서울도시가스 등)과의 협력을 통해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 컨설팅, 수요반응(DR), 통합 검침(전기·가스·수도) 등의 고객 편익 서비스 제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14
  • 기술적 중요성: AMI 구축에 투입된 막대한 비용의 효용성을 입증하고 스마트그리드의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필수적입니다.
  • 데이터 접근 및 협력의 중요성: 특히 정부 지원 사업 등으로 AMI가 구축된 아파트 단지의 경우, KEPCO의 전력망 데이터(MDMS)와 단지 내 AMI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서비스 개발에 제약이 따르고 있습니다.14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KEPCO와 민간 사업자, 아파트 관리 주체 간의 표준화된 데이터 공유 모델 및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합니다. 예를 들어, 정확한 DR 자원 평가나 통합 에너지 요금 컨설팅을 위해서는 KEPCO의 실시간 계통 정보와 각 세대 및 공용부의 상세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가 결합되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데이터 통합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ENET) 21 등이 이러한 데이터 연계 및 활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 BEMS/HEMS의 지능화 (AI·IoT 접목):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및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HEMS)은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하여 에너지 소비 최적화 및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27 AI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 외부 기상 조건, 실시간 전기 요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냉난방, 조명 등 주요 설비의 운전 스케줄을 자동으로 최적화하고 29, 에너지 절약을 위한 맞춤형 제안을 제공합니다.31 클라우드 기반 BEMS 플랫폼은 원격 관리 및 데이터 분석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32
  • 기술적 중요성: AI 기반 EMS는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하는 '무자각·무구속' 에너지 관리 34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에너지 효율 향상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 개선에도 크게 기여합니다.
  • 상호운용성의 전제 조건: AI 기반 EMS의 성능은 다양한 기기(스마트 가전, 센서,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로부터 얼마나 정확하고 풍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어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제조사의 기기들이 원활하게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운용성 표준(예: Matter)의 확보가 AI 기반 EMS 고도화의 핵심 전제 조건입니다. 다양한 기기 데이터를 통합하지 못하면 AI 알고리즘이 최적의 제어 전략을 수립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35
  1. 분산자원 통합 관리 (DERMS/VPP/마이크로그리드):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등 분산에너지자원(DER)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합니다. 주택(HEMS), 빌딩(BEMS), 공장(FEMS) 등 다양한 수용가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포괄하는 통합 에너지 관리 플랫폼(xEMS) 연구 36, 마이크로그리드 내 분산자원 최적 운영 기술 37, 가상발전소(VPP)를 통한 전력계통 안정화 및 시장 참여 기술 등이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38 국내에서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으로 VPP 시장 활성화가 기대됩니다.34
  • 기술적 과제: 다양한 종류와 규모의 분산자원을 각기 다른 소유 주체와 관리 시스템(HEMS, BEMS, DERMS, VPP) 하에서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최적 제어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시스템 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과 제어 신호 전달을 위한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모델 정립이 시급합니다. 예를 들어, HEMS/BEMS의 부하 조절 정보를 AMI를 통해 수집하고, 이를 DERMS/VPP 플랫폼에서 분석하여 전력망 운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을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27 IEC 61850과 같은 국제 표준이 DER 연계에 활용될 수 있으나 40, HEMS/BEMS/AMI와의 포괄적인 연동 표준은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B. 스마트홈 및 건물 통합 기술

  1. Matter 표준 부상 및 확산: 스마트홈 기기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핵심 표준으로 Matter가 주목받고 있습니다.35 Matter는 IP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조사에 관계없이 스마트 가전, 조명, 도어락 등 다양한 기기들의 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42 특히, Matter 1.3 버전부터 에너지 관리, 물 관리, 전기차 충전 기능이 추가되어 43 스마트홈 에너지 관리 분야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아졌습니다. 국내에서도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을 통해 Matter 시험·인증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습니다.43
  • HEMS/BEMS 개발 촉진: Matter 표준의 확산은 HEMS/BEMS 개발사들이 개별 기기 연동의 복잡성에서 벗어나, AI 기반의 에너지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등 고부가가치 기능 구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즉, 표준화된 통신 규약 덕분에 35 다양한 제조사의 기기들을 손쉽게 EMS 플랫폼에 통합하고 29, 이를 통해 풍부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보다 정교한 AI 기반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1. 지능형 홈(AI@Home) 프로젝트 추진: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AI@Home 프로젝트는 AI, 로봇 기술, Matter 표준 등을 융합하여 차세대 지능형 홈 모델을 공동주택에 구현하고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45 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기업과 LH, 현대건설 등 건설사가 참여하여 기술 개발 및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45
  • 통합 솔루션 지향: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스마트홈 기능 구현을 넘어, AI 기반의 자율 제어,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진정한 의미의 지능형 주거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며, 에너지 관리 및 효율화가 핵심 요소 중 하나로 포함됩니다. 가전, 설비, 건설 등 관련 산업 간 협력을 통해 45 스마트홈 기술이 에너지 효율 목표와 연계되어 실제 주거 환경에 통합적으로 적용되는 선도 사례를 만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1. ZEB 구현 위한 기술 융합: ZEB 목표 달성은 단열 강화, 고성능 창호 적용 등 패시브(Passive) 기술과 7 고효율 냉난방/환기 시스템(히트펌프, 전열교환기 등) 4, 신재생에너지 설비(태양광 등) 4 등 액티브(Active) 기술, 그리고 이를 통합 제어하고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BEMS/AMI 2 기술의 유기적인 융합을 통해 가능합니다.
  • 시스템 통합의 중요성: ZEB는 개별 기술 요소의 성능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 시스템으로서의 통합적인 에너지 성능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기술들이 상호 연계되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BEMS를 통한 정교한 제어 전략과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예: BACnet 47, Matter 43)가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BEMS가 태양광 발전량, 실내 재실 여부, 외부 기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냉난방 및 환기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설비와의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C. 신기술 및 개념

  1. V2G (Vehicle-to-Grid) 기술 동향: 전기차 배터리를 이동형 ESS로 활용하여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하는 V2G 기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5월 7-8일 미국 산 라몬에서 개최된 '제5차 V2G 비즈니스, 정책 및 기술 포럼' 등 관련 행사에서는 V2G 표준화 진행 상황, 정책 지원 방안, 비즈니스 모델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습니다.48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V2G는 향후 스마트그리드의 중요한 유연성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상용화 준비 단계 진입: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표준화와 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48 V2G 기술이 단순 파일럿 단계를 넘어 실제적인 보급 및 상용화 전략 수립 단계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기술 표준, 제도, 경제성 확보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1. 수소 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연계: 수소는 주로 운송 및 산업 부문에서의 활용이 논의되지만, 장기적으로 스마트그리드와의 연계 가능성도 탐색되고 있습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활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하는 그린수소는 50 장주기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연료전지는 필요시 전력을 공급하는 분산전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40 미국(45V 세액공제) 24, EU(유럽 수소 은행) 51 등 주요국들은 청정 수소 생산 및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Toyota, Air Liquide, Linde, SK E&S, 두산퓨얼셀 등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관련 사업 참여도 활발합니다.52
  • 장기적인 그리드 유연성 자원: 수소는 배터리(ESS)와 상호 보완적으로 전력망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잠재력이 있습니다. 특히 계절 간 에너지 저장 등 장주기 저장 측면에서 강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높은 생산 비용과 인프라 부족이 상용화의 가장 큰 제약 요인입니다.54 수소 생산(전기분해) 및 활용(연료전지) 기술의 발전과 비용 절감, 그리고 관련 인프라 구축이 스마트그리드 연계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III. 시장 및 산업 동향

A. 시장 성장 및 투자 동향

  1.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 전망: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재생에너지 통합 확대,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 증가, 노후 전력망 현대화 필요성 증대 등에 힘입어 2030년까지 현재의 약 3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38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1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38
  2. 재생에너지 및 ESS 투자 활발: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대규모 태양광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 EDPR NA, DESRI 프로젝트).57 분산형 태양광 시장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와 Nexamp의 파트너십과 같은 대규모 계약이 체결되고 있습니다.57 주택용 태양광 시장에서는 ESS 연계 설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예: Sunrun 1분기 실적).58
  3. 홈 오토메이션 시장 동반 성장: 스마트홈 시장 역시 IoT 기기 확산, 편의성·보안·에너지 효율에 대한 소비자 요구 증대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2029년까지 시장 규모가 1,23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CAGR 12.4%), 이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집니다.59
  4. 시장 간 시너지 효과: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ESS, 전기차, 스마트홈 시장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동반 성장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스마트그리드는 재생에너지와 전기차의 효율적인 계통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스마트홈 시스템은 AMI 등 스마트그리드 인프라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요금 정보 등을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며, ESS는 계통 안정성과 가정/건물의 에너지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각 시장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은 38 재생에너지 및 EV 확대에 의해 견인되고 56, 대규모 재생에너지/ESS 프로젝트가 증가하며 57, EV 보급은 스마트 충전 인프라 투자를 유발합니다.38 동시에 스마트홈에서는 에너지 관리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59, 이는 스마트미터(AMI) 14 등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B. 주요 기업 활동 및 발표 (5월 7-8일)

  1. 수소 부문: 평화홀딩스 및 평화산업 주가가 5월 8일 수소 및 연료전지 테마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 기대감으로 급등했습니다.60 다만, 해당 기업들의 구체적인 수소 관련 신규 사업 발표나 공시 내용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분리막 관련 특허를 다수 출원했습니다.62 이 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의 수소 및 연료전지 관련 특허가 공개되거나 등록되었습니다.62 캐나다 에너지 기업 Enerflex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소를 저탄소 솔루션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언급했으나, 구체적인 신규 프로젝트나 투자 계획은 밝히지 않았습니다.63
  2. 전력망 및 에너지 기업: 미국 휴스턴 지역 전력회사인 CenterPoint Energy는 2025년 허리케인 시즌 대비 전력망 복원력 강화 조치(전주 강화, 전선 지중화, 자동화 설비 추가 등)의 약 90%를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64 미국 주택용 태양광 기업 Sunrun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높은 ESS 연계 설치율(69%)을 보고했습니다.58 EDPR NA와 DESRI는 미국에서 대규모 태양광 및 ESS 프로젝트 건설 착수 소식을 알렸습니다.57 마이크로소프트는 분산형 태양광 개발업체 Nexamp와 300MW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57
  3. 기술 기업: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Cushman & Wakefield는 데이터센터 시장 보고서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65 에너지 기술 기업 Zendure는 독일에서 열린 Intersolar Europe 2025에서 AI 기반 HEMS 'ZENKI'를 공개했습니다.30 또한, The smarter E Award 2025 수상 기업들이 발표되어 태양광, ESS, E-모빌리티, 스마트 통합 에너지 분야의 혁신 기술들이 소개되었습니다.66
  4. 산업 생태계의 다양성: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에는 전통적인 전력회사 64, 신재생에너지 개발사 57, 글로벌 IT 기업 57, 전문 기술 솔루션 기업 30, 부품 제조사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며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를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그리드 구축 및 운영이 다방면의 협력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과제임을 보여줍니다.

C. 컨퍼런스 및 이벤트 동향 (5월 7-8일)

  1. Intersolar Europe 2025 (뮌헨, 5월 7-9일): 태양광, ESS, 스마트 에너지 기술 분야의 주요 전시회 및 컨퍼런스입니다. Zendure의 AI 기반 HEMS 공개 30, The smarter E Award 2025 수상작 발표 66, EcoFlow의 AI HEMS 및 AIKO의 지능형 태양광 모듈 소개 67 등이 주목할 만한 내용입니다.
  2. 제5차 V2G 비즈니스, 정책 및 기술 포럼 (산 라몬, 5월 7-8일): V2G 기술 표준화, 정책, 비즈니스 모델 등을 논의하고 상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48 (구체적인 논의 결과나 발표 내용은 확인되지 않음)
  3. IEEE PES 웨비나 (5월 7-8일): 5월 7일에는 스마트그리드 분야 우수 논문 소개, 5월 8일에는 관성 인지 기반 주파수 제약 전력계통 운영에 대한 웨비나가 진행되었습니다.68
  4. Renewable South 2025 (모스타르, 5월 7-8일): 동남유럽 지역의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열렸으며, 전력망 관리 및 수소 에너지의 역할 등이 논의되었습니다.69
  5. HyValue Days 2025 (베르겐, 5월 7-8일):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안전, 활용 등 수소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최신 연구 및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행사입니다.70
  6. 주요 논의 분야: 최근 업계의 주요 관심사는 AI 기술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적용, V2G 기술의 상용화, 재생에너지 수용성 증대를 위한 전력망 현대화, 그리고 수소 에너지의 역할과 경제성 확보 방안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여러 국제 행사에서 30 이러한 주제들이 공통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은 해당 분야들이 현재 스마트 에너지 산업의 핵심적인 혁신 및 논의 영역임을 시사합니다.

IV.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동향

A. 주요 표준 개발 및 업데이트 현황

  1. BEMS 표준 (KS F 1800-1 / 1800-2): 국내 BEMS 관련 핵심 국가표준입니다. KS F 1800-1은 BEMS의 기본 기능과 데이터 처리 절차를 정의하고, KS F 1800-2는 데이터 관제점 선정, 데이터베이스 관리, 에너지 절감량 산정 방법 등 보다 구체적인 운영 및 평가 기준을 규정합니다.43 이 표준들은 ZEB 의무화 이행의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며 72, BEMS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KS F 1800-2는 BEMS 도입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필수적인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71
  2. 스마트홈 표준 (Matter): 기기 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35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홈 기기(조명, 가전, 냉난방기 등)를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45, 최근 버전(1.3)에서는 에너지 관리 및 전기차 충전 기능까지 포함하여 43 스마트그리드와의 연계성을 강화했습니다. 국내에서도 TTA를 중심으로 Matter 시험인증 환경이 구축되어 국내 기업의 표준 적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43
  3. AMI 표준: 국내 AMI 시스템은 K-PLC, Wi-SUN, LTE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16 상호운용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데이터 모델(KS X 3267) 74 및 통신 프로토콜(KS X 3268) 76 관련 KS 표준이 제정되어 있으며, 이는 TTA 단체표준 등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76 데이터 보안 강화를 위해 국정원 암호모듈검증필(KCMVP) 암호모듈 적용이 의무화되고 있습니다.18
  4. 국제 표준 동향: 스마트그리드 및 건물 에너지 관리 분야에서는 다양한 국제 표준화 기구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IEC TC 57은 전력 시스템 운영 및 정보 교환 표준(IEC 61850, 61970, 61968 등)을 개발하며 78, 특히 IEC 61850은 변전소 자동화 및 분산자원(DER) 연계의 핵심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40 ISO TC 205는 건물 환경 설계 표준을 다루며 80, ISO 50001은 조직의 에너지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으로 널리 활용됩니다.82 빌딩 자동화 분야에서는 ISO 16484 시리즈 및 BACnet 프로토콜이 중요하며 43, 유럽표준화기구(CEN/TC 247)도 관련 표준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85 IEC SyC Smart Energy 87 및 CEN-CENELEC-ETSI 스마트그리드 조정 그룹 89 등은 관련 표준화 활동을 조율하는 역할을 합니다. ETSI SAREF는 스마트 가전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모델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91
  5. 다층적 표준화 구조: 스마트그리드 표준화는 개별 기기(예: 스마트 가전), 통신 프로토콜(예: Matter, BACnet, PLC), 데이터 모델(예: KS X 3267, IEC 61850), 시스템 기능(예: KS F 1800), 보안(예: KCMVP, IEC 62351) 등 여러 계층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홈, BEMS, AMI, 전력망 자동화, 분산자원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표준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그리드 구현, 즉 End-to-End 시스템 연동 및 최적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계층과 영역의 표준들이 서로 정합성을 가지고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각 영역별 표준화 노력과 더불어 35, 이들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데이터 모델 및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32

B. 상호운용성 및 데이터 보안

  1. 상호운용성 확보 과제: 서로 다른 제조사의 시스템 및 기기 간 호환성 부족은 여전히 스마트그리드 확산의 주요 장애 요인입니다.34 특히 HEMS, BEMS, AMI, 유틸리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 및 제어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데이터 모델의 부재는 39 고도화된 수요반응이나 전력망 유연성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만듭니다. Matter 표준은 스마트홈 기기 레벨에서의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35, KS F 1800-2는 BEMS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위한 데이터 태그 생성 규칙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71 그러나 전체 스마트그리드 생태계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2.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AMI, 스마트홈 기기 등에서 수집되는 에너지 사용량 및 개인 생활 패턴 정보는 민감 정보에 해당하므로 95,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가 매우 중요합니다.97 해킹이나 데이터 유출은 금전적 피해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99 국내 AMI 시스템의 경우, KCMVP 인증을 받은 암호모듈을 탑재하여 데이터 전송 및 저장 과정에서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18 전력 시스템 보안을 위한 국제 표준(IEC 62351) 79 및 일반적인 스마트홈 보안 수칙(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정기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네트워크 분리 등) 준수 99 역시 필수적입니다.
  3. 신뢰 기반의 데이터 활용: 스마트그리드 서비스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적인 보안 강화와 더불어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정책 및 규제 마련이 필수적입니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되고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는 신뢰를 가질 때 99, AMI나 HEMS 등을 통해 수집된 상세 에너지 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맞춤형 요금제, 에너지 컨설팅 등)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지 못하면 95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그리드 서비스 발전은 제약될 수밖에 없습니다.

표 2: 주요 표준화 동향 요약 (2025년 5월 8일 기준)

 

표준화 기구 표준 번호/명칭 중점 분야 주요 현황/업데이트 관련 Snippet ID
KS (한국) KS F 1800-1 / 1800-2 BEMS 기능, 데이터 관리, 절감량 산정 등 정의. ZEB 의무화 핵심 기반 표준. 43
CSA (국제) Matter 스마트홈 상호운용성 에너지 관리, EV 충전 기능 추가(v1.3). 국내 시험소 구축 등 도입 활발. AI@Home 프로젝트 연계. 35
KS (한국) / TTA KS X 3267 / KS X 3268 / TTAK AMI 데이터 모델/통신 표준 존재하나 다양한 프로토콜 혼용. KCMVP 기반 보안 강화. 74
IEC IEC 61850 전력 시스템 자동화 / DER 연계 핵심 국제 표준. Edition 2025 개정 작업 진행 중. 40
ISO 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조직 단위 에너지 관리 국제 표준. 널리 활용됨. 82
ISO / CEN ISO 16484 / BACnet 빌딩 자동화 제어 BEMS 시스템 통합 위한 주요 프로토콜. 47

V. 분석 및 전망

  • 기술 및 정책 융합 가속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 빌딩, 스마트홈, 전기차(V2G 포함) 등 개별 영역으로 논의되던 기술과 정책들이 빠르게 융합되고 있습니다. ZEB 의무화는 건물 에너지 관리(BEMS)와 신재생에너지, 스마트홈 기술의 통합을 요구하며 2,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지역 단위의 발전, 저장, 소비를 연계하는 새로운 모델을 실험합니다.9 Matter 표준은 스마트홈 기기들을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43, V2G는 교통과 전력망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48 이러한 융합 추세는 관련 기업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개별 기술이 아닌 전체 시스템 관점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AI 기술은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29
  • 표준화 병목 현상 지속: Matter 표준의 등장 35, BEMS 관련 KS 표준 제정 71 등 개별 영역에서의 표준화 진전에도 불구하고, AMI, HEMS/BEMS, DERMS, VPP 플랫폼 등 스마트그리드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 시스템들을 포괄적으로 연계하는 상위 레벨의 상호운용성 표준 부재는 여전히 스마트그리드 잠재력 실현의 주요 병목 지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분산자원을 활용한 고도화된 수요반응이나 전력망 유연성 서비스를 위해서는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및 제어 연동을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워크 마련이 시급합니다.34 이는 단순히 기술적 과제를 넘어,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다수 사업자 간의 협력과 합의를 요구하는 복잡한 문제입니다.39
  • 데이터의 중요성 증대 및 보안/프라이버시 과제: AMI, BEMS, HEMS, DER 등 스마트그리드 환경 전반에서 생성되는 세분화된 에너지 데이터의 확보 및 분석 능력은 향후 전력망 운영 효율화, 새로운 시장 서비스 창출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14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개인의 생활 패턴과 직결되는 민감 정보를 포함하므로 95, 강력한 데이터 보안 체계 구축과 프라이버시 보호 규범 준수가 전제되지 않으면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고 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산에 큰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99 따라서 KCMVP 적용 18 등 기술적 보안 강화와 함께, 투명하고 합리적인 데이터 활용 거버넌스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 정책 일관성의 중요성: ZEB 의무화 로드맵 2, 분산에너지 활성화 정책 8,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등 명확하고 일관된 장기 정책 방향 제시는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및 관련 기술에 대한 민간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시장 활성화를 촉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정책의 잦은 변경이나 불확실성은 대규모 장기 투자가 필수적인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규제와 함께,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정책 환경 조성이 중요합니다.38
  • 향후 전망: 단기적으로는 AMI 보급 완료 및 활용 서비스 개발, ZEB 의무화 본격 시행에 따른 관련 시장 확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시범 운영, AI 기반 에너지 관리 솔루션 고도화 등이 중점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호운용성 표준화 및 사이버 보안 강화는 지속적인 과제가 될 것입니다. V2G 기술은 정책 지원 및 실증 사업 확대를 통해 점진적으로 상용화 기반을 다져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력시장 구조 개편, 분산자원 통합 관리 플랫폼 고도화, 그리고 기존 전력 사업자와 새로운 에너지 서비스 사업자 간의 역할 정립 및 협력 모델 구축이 스마트그리드 생태계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참고 자료

  1. 국토부 신축 민간 아파트 제로에너지 의무화, 6월부터 적용 - 비즈니스포스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4054
  2. 정책동향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시스템1,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zeb.energy.or.kr/BC/BC02/BC02_02_001.do
  3.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현황과 향후 과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shinkim.com/newsletter/2022/GA/2022_vol141/links/2022_vol141_405.pdf
  4.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or.kr/energy_issue/mail_vol239/pdf/issue_342_01_all.pdf
  5. 인증제도 기준 - ZEB,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zebenergy.kr/subpage.php?mc=55
  6.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이상, 에너지자립률 ... - 제로에너지건축물,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zeb.energy.or.kr/BC/BC03/BC03_05_002.do
  7.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housing.or.kr/common/downLoad.do?siteId=home&fileSeq=31066
  8. 경기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파주·의왕 신청 - 연합뉴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0090700061
  9. 제주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 - 연합뉴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6078100056
  10. 경기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대상지 파주·의왕시 공식 신청" 밝혀 - 열린뉴스통신,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o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240879
  11. 2025년 미래 지역 ... - 사업공고 < 알림·뉴스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2826a2625/70013/view?mno=&pageIndex=3&rowPageC=0&schClear=on&startDtD=&endDtD=&searchCondition=1&searchKeyword=
  12. 산업부 “다양한 전원, 가격입찰제시장(PBP)서 거래할 것” - 데일리한국,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6998
  13. 한전 AMI 보급 사업 14년만에 완료 코 앞...공공·민간 신사업 찾기 시작 - 디지털데일리,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ddaily.co.kr/page/view/2024070507034737695
  14. 민‧관수 보급 사업 종료된 AMI 다음 스텝은…다양한 서비스 '컬래버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7390
  15. 실시간 전력계량 정보제공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sn7213/221589754200
  16.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이해하기 - 지능형 전력 계량 인프라 (feat. 스마트그리드) : 네이버 블로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m_joshua/222041005297?viewType=pc
  17. IoT-PLC는 세계 유일의 지중선로용 AMI 통신방식입니다!,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daara1.cache.iwinv.net/exhi/koema/1626399088_6.pdf
  18. 국정원 KCMVP 암호모듈 - 키페어,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eypair.co.kr/pages/blog-article1.html
  19. 국정원 KCMVP 암호모듈 - 키페어,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eypair.co.kr/pages/secureic-kcmvp-en.html
  20. (기획) 그린뉴딜로 핫해진 AMI, 어디까지 알고 있니_200928 | KEPCO - 한국전력공사,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ome.kepco.co.kr/kepco/KR/ntcob/ntcobView.do?boardCd=BRD_000516&boardSeq=21049056
  21. 데이터포털 서비스 소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codata.kr/portal/service
  22. EU 이사회, '건물에너지성능지침(EPBD)' 개정안 최종 승인 - KBA Europ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ba-europe.com/?kboard_content_redirect=24476
  23. Texas may put new rules on major energy users | The Texas Tribun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exastribune.org/2025/05/07/texas-energy-legislature-data-center-ercot/
  24. Credit for Production of Clean Hydrogen and Energy Credit - Federal Register,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25/01/10/2024-31513/credit-for-production-of-clean-hydrogen-and-energy-credit
  25. Final regulations for the Inflation Reduction Act's Section 45V Clean Hydrogen Production Tax Credi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heicct.org/wp-content/uploads/2025/04/ID-337-%E2%80%93-Hydrogen-credit_policy-update_final.pdf
  26. Grant Funding Opportunities - Hydrogen Fuel Cell Partnership,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2fcp.org/grant-funding-opportunities
  27. 2025년 EMS 제품 및 기업 편람,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bems.or.kr/img/2024%EB%85%84_EMS%EC%A0%9C%ED%92%88_%EB%B0%8F_%EA%B8%B0%EC%97%85%ED%8E%B8%EB%9E%8C_v0.3.pdf
  28. 스마트홈과 IoT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미래형 절전 솔루션,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donggyussem.tistory.com/135
  29. AI in Smart Homes: Revolutionizing Home Automation - Newo.ai, 5월 7, 2025에 액세스, https://newo.ai/insights/the-evolution-of-smart-homes-integrating-ai-in-home-automation/
  30. Zendure Unveils ZENKI AI-Powered HEMS at Intersolar Europe 2025: Smarter Energy for Every Home - PR 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zendure-unveils-zenki-ai-powered-hems-at-intersolar-europe-2025-smarter-energy-for-every-home-302448463.html
  31. 스마트 빌딩의 핵심,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파헤치기 - 네이버 블로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stto1004/223665890381?recommendCode=2&recommendTrackingCode=2
  32.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BEMS)의 기술 및 표준화 동향,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ta.or.kr/data/androReport/ttaJnal/147-6-3.pdf
  33. 기존 건축물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에너지성능 현장 진단 기술,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ist.re.kr/_attach/kist/file/2023/12/OIUSsjyFpaqMnhjCTwUCyKDXHH.pdf
  34. 2024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기획보고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grant-documents.thevc.kr/200277_05.+%5B%EA%B3%B5%EA%B0%9C%EC%9A%A9%5D+2024%EB%85%84%EB%8F%84+%EC%97%90%EB%84%88%EC%A7%80%EA%B8%B0%EC%88%A0%EA%B0%9C%EB%B0%9C%EC%82%AC%EC%97%85+%EC%8B%A0%EA%B7%9C%EA%B3%BC%EC%A0%9C+%EA%B8%B0%ED%9A%8D%EB%B3%B4%EA%B3%A0%EC%84%9C_%EC%97%90%EB%84%88%EC%A7%80%EC%88%98%EC%9A%94%EA%B4%80%EB%A6%AC%ED%95%B5%EC%8B%AC(%EC%88%98%EC%9A%94%EA%B4%80%EB%A6%AC%EA%B8%B0%EB%B0%98_%EA%B1%B4%EB%AC%BC).pdf
  35. 2025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기획보고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grant-documents.thevc.kr/246940_2.+%5B%EA%B3%B5%EA%B0%9C%EC%9A%A9%5D+2025%EB%85%84%EB%8F%84+%EC%97%90%EB%84%88%EC%A7%80%EA%B8%B0%EC%88%A0%EA%B0%9C%EB%B0%9C%EC%82%AC%EC%97%85+%EC%8B%A0%EA%B7%9C%EA%B3%BC%EC%A0%9C+%EA%B8%B0%ED%9A%8D%EB%B3%B4%EA%B3%A0%EC%84%9C_%EC%97%90%EB%84%88%EC%A7%80%EC%88%98%EC%9A%94%EA%B4%80%EB%A6%AC%ED%95%B5%EC%8B%AC%EA%B8%B0%EC%88%A0%EA%B0%9C%EB%B0%9C(%EC%88%98%EC%9A%94%EA%B4%80%EB%A6%AC-1).pdf
  36. 주택/빌딩/공장/공공 시설물 통합 에너지 관리기술(xEMS) 개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KCRK230348/OTKCRK230348.pdf
  37. 에너지ICT연구단 <에너지효율연구본부 <연구부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ier.re.kr/menu?menuId=MENU00420
  38. Smart Grid Market Growth Trends and Forecast to 2030 | Global Smart Grid Market Set to Triple in Value by 2030 - ResearchAndMarkets.com - Business 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501262601/en/Smart-Grid-Market-Growth-Trends-and-Forecast-to-2030-Global-Smart-Grid-Market-Set-to-Triple-in-Value-by-2030---ResearchAndMarkets.com
  39.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산업 육성 방안,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eei.re.kr/keei/download/KIP1313.pdf
  40. IEC 61850 기반 무정전 전력 공급 시스템 - 네이버 블로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kescomiri/221895790099
  41. Applying IEC 61850 to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 UCAIug,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ucaiug.org/Meetings/CIGRE2018/Booth%20Presentations/17-Wedneday-SISCO-Using-IEC-61850-for-DER.pdf
  42. 백서: Matter를 통한 원활한 스마트 홈 연결,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t.com/content/dam/kms/Contents/Reflibrary/brwp2308matter-j.pdf
  43. 2025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기획보고서,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grant-documents.thevc.kr/246940_2.+%5B%EA%B3%B5%EA%B0%9C%EC%9A%A9%5D+2025%EB%85%84%EB%8F%84+%EC%97%90%EB%84%88%EC%A7%80%EA%B8%B0%EC%88%A0%EA%B0%9C%EB%B0%9C%EC%82%AC%EC%97%85+%EC%8B%A0%EA%B7%9C%EA%B3%BC%EC%A0%9C+%EA%B8%B0%ED%9A%8D%EB%B3%B4%EA%B3%A0%EC%84%9C_%EC%97%90%EB%84%88%EC%A7%80%EC%88%98%EC%9A%94%EA%B4%80%EB%A6%AC%ED%95%B5%EC%8B%AC%EA%B8%B0%EC%88%A0%EA%B0%9C%EB%B0%9C(%EC%88%98%EC%9A%94%EA%B4%80%EB%A6%AC-2).pdf
  44. 매터 1.3 스팩 발표 - 브런치스토리,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runch.co.kr/@@2gvj/346
  45. 과기부, 공동 주택에 지능형 홈을 구현하는 「지능형 홈(AI@Home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aurum.re.kr/Research/PostView.aspx?mm=1&ss=1&pid=29186
  46.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유지관리, 미래 전망과 혁신 기술 - 수이의 정보창고,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uisui1.tistory.com/19
  47. About the BACnet Standard,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acnet.org/about-bacnet-standard/
  48. Events — VGIC - Vehicle-Grid Integration Council,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vgicouncil.org/event-summary
  49. V2G Forum 5/6-8 - Interstate Renewable Energy Council (IREC),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recusa.org/events/v2g-forum-5-6-8/
  50. Green Hydrogen Summit 2025 - YouTub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SpLVmyXd6gM
  51. Over-subscribed European Hydrogen Bank auction receives 61 bids for Innovation Fund support, including 8 maritime projects - EU Climate Action,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climate.ec.europa.eu/news-your-voice/news/over-subscribed-european-hydrogen-bank-auction-receives-61-bids-innovation-fund-support-including-8-2025-03-07_en
  52. Ordinary Adjustment | Solactive Hydrogen Economy Index | Effective Date 19th May 2025,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olactive.com/ordinary-adjustment-solactive-hydrogen-economy-index-effective-date-19th-may-2025/
  53. Toyota Expands Commitment to Hydrogen Society with Fleet, Infrastructure and Next-Gen System Debut - PR 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toyota-expands-commitment-to-hydrogen-society-with-fleet-infrastructure-and-next-gen-system-debut-302439807.html
  54. Green Hydrogen Market Report 2025-2035: Nations Set Ambitious Production Goals with Financial Incentives - Globe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4/07/3056708/0/en/Green-Hydrogen-Market-Report-2025-2035-Nations-Set-Ambitious-Production-Goals-with-Financial-Incentives.html
  55. FOCUS ON HYDROGEN: STATE OF THE MARKET 2025 MARCH 2025 | Clifford Chanc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liffordchance.com/content/dam/cliffordchance/briefings/2025/03/focus-on-hydrogen-state-of-the-market-2025.pdf
  56. Steady Growth Ahead: Smart Grid Market to Surge by 17% CAGR from 2025 to 2030,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5/05/3073808/28124/en/Steady-Growth-Ahead-Smart-Grid-Market-to-Surge-by-17-CAGR-from-2025-to-2030.html
  57. US ROUND-UP: EDPR NA, DESRI grid-scale solar projects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v-tech.org/us-round-up-edpr-na-desri-scale-solar-projects-microsoft-backs-nexamps-300mw-clean-energy-rollout/
  58. 'Tariff outlook manageable', says Sunrun as storage attachment rate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v-tech.org/tariff-outlook-manageable-says-sunrun-as-storage-attachment-rate-reaches-69-in-q1-2025/
  59. Unlocking Opportunities in the Home Automation Market: Key ..., 5월 7, 2025에 액세스, https://blog.tbrc.info/2025/04/home-automation-market-report-3/
  60. 평화홀딩스·평화산업 장중 20%대 급등, 김문수 관련주 주목 - 비즈니스포스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4001
  61. [강세 토픽] 수소차 - 연료전지 테마, 평화홀딩스 +27.13%, 평화산업 +22.69%,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5/05/08/JRTQRIFWNPMQG4YP7ARDLBOSVU/
  62. Global IP New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alipnews.com/?q=Fuel+Cell
  63. Enerflex Ltd. Announces First Quarter 2025 Financial and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nvestors.enerfle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enerflex-ltd-announces-first-quarter-2025-financial-and
  64. Greater Houston Resiliency Initiative Phase Two Update: CenterPoint Energy completes nearly 90% of critical resiliency actions to strengthen the grid ahead of 2025 hurricane season - PR Newswir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greater-houston-resiliency-initiative-phase-two-update-centerpoint-energy-completes-nearly-90-of-critical-resiliency-actions-to-strengthen-the-grid-ahead-of-2025-hurricane-season-302448921.html
  65. 데이터 인프라 수요 급증에 따라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의 부동산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1010759
  66. INNOVATIONS IN ACTION: THE WINNERS OF THE SMARTER E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altenergymag.com/news/2025/05/06/innovations-in-action-the-winners-of-the-smarter-e-award-2025-%E2%80%93-it-is-all-about-a-renewable-247-energy-supply/45235
  67. Innovations Unveiled At Intersolar Europe 2025 Transform Solar Industry - Evrim Ağacı,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vrimagaci.org/tpg/innovations-unveiled-at-intersolar-europe-2025-transform-solar-industry-345193
  68.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IEEE PES) | Home,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ieee-pes.org/pes-calendar/
  69. Renewable South 2025 Highlights Grid, Hydrogen and Efficiency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ergynews.biz/renewable-south-2025-highlights-grid-hydrogen-and-efficiency/
  70. The 2025 HyValue Day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hyvalue.no/events/2025-hyvalue-days
  71. KS F 1800-2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 제2부:관제점 선정, 데이터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ssn.net/search/stddetail.do?itemNo=K001010130820
  72. 산업부, 건물에너지관리 시스템 국가표준 제정안 확정 고시 | 국내동향,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www.aurum.re.kr/Sub/PostView.aspx?mm=1&ss=1&pid=21705
  73. [산업통상자원부] ICT 기반 '건물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 국가표준(KS) 제정,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ulbee.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1111
  74. [KOAT] KS X 3267 스마트 온실 센서/구동기 노드 및 온실 통합 제어기 간 RS485 기반 모드버스 인터페이스 > 표준화 사업 |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kasfi.or.kr/bbs/board.php?bo_table=w4_1&wr_id=11
  75. 자율주행차 시대, 현대차의 반격 - 유진투자증권,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121_B2510_leejaeil_1152.pdf
  76. 자료검색-표준 - ::: TTA표준화 위원회 :::,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committee.tta.or.kr/data/standard_view.jsp?commit_code=PG426&by=asc&order=t.publish_date&nowPage=3&pk_num=TTAK.KO-10.1045&nowSu=1
  77. KS고시 상세 | e나라 표준인증,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standard.go.kr/KSCI/ksNotification/getKsNotificationView.do?ntfcManageNo=2018-00501&menuId=921&topMenuId=502
  78. TC 57 – Power systems management and associated information exchange - IEC,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c57.iec.ch/
  79. IEC TC 57 - Wikipedi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IEC_TC_57
  80. MC/ISO/TC 205 Building environment design - Standards Council of Canad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cc-ccn.ca/standards/committees/mcisotc-205-building-environment-design
  81. ISO/TC 205 - Building environment design - iTeh Standard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tandards.iteh.ai/catalog/tc/iso/03000e35-67e0-47a3-baf3-00485a1d4869/iso-tc-205
  82. ISO 50001 - 에너지 경영 시스템 - DNV Kore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dnv.co.kr/services/page-3370/
  83. ISO 50001 인증 | TÜV SÜD Kore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tuvsud.com/ko-kr/services/auditing-and-system-certification/iso-50001
  84. 한국토지주택공사 - 201206_55010 공동주택 자동제어설비공사,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cyeng.iptime.org/xe/board_lh/24203
  85. Standards search - Genorma,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genorma.com/en/project/list/2?status%5B0%5D=IN_DEVELOPMENT&status%5B1%5D=PUBLISHED&committee=CEN/TC%20247&operatorCommittee=3&operatorStdType=3&listMode=DEFAULT
  86. Decision CEN/TC 247 503/2023 Building automation, controls and building management — Smart Building - Description and Aspects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 Project,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tandardsdevelopment.bsigroup.com/projects/9023-09175
  87. SyC Smart Energy - IEC,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yc-se.iec.ch/
  88.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via Public) / What standards for the smart grid,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ublicnow.com/view/54730E4F313E458D7227B30E4F7B9BFE8844EA99?1742284070
  89. Smart grids - CEN-CENELEC,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encenelec.eu/areas-of-work/cen-cenelec-topics/smart-grids-and-meters/smart-grids/
  90. CEN-CENELEC-ETSI CG on Smart Grids,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encenelec.eu/areas-of-work/cen-cenelec-topics/smart-grids-and-meters/cen-cenelec-etsi-coordination-group-on-smart-grids-cg-sg/
  91. Special Report - 스마트시티 데이터 모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tta.or.kr/data/androReport/ttaJnal/176-2-3-6.pdf
  92. SAREF Portal - ETSI,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aref.etsi.org/
  93.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보급 촉진을 위한 표준화 전략 수립,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KCRK220721/OTKCRK220721.pdf
  94.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산업 육성 방안,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eei.re.kr/pdfOpen.es?bid=0001&list_no=81617&seq=1
  95. [논문]공동주택의 개인정보보호 개선방안 연구,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834663385515&dbt=NART
  96. 카드뉴스 상세 페이지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S212&mCode=C040030000&nttId=9171
  97. [논문]스마트 홈 IoT 보안 기술 연구 동향 및 고찰,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13263538&dbt=NPAP
  98. [논문]위협 모델링 분석 및 국제공통평가기준을 통한 스마트홈 허브의 보안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814442074248
  99. 스마트 홈 알아보기: 사용자의 공간 보호,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kaspersky.co.kr/resource-center/preemptive-safety/smart-home-security
  100. Home automation advantages and ... - Times of India, 5월 7, 2025에 액세스,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readersblog/nithinsunilthypparampil/home-automation-advantages-and-disadvantages-51585/
  101. Edition 2025 of IEC 61850 | PAC World, 5월 8, 2025에 액세스, https://www.pacw.org/edition-2025-of-iec-61850

 

728x90
반응형